반응형 쇼펜하우어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옳고 그름 따윈 없다. 다수는 그저 많은 숫자일 뿐 많다고 정의가 되는 건 아니다. 적음을 무능력하다는 편견으로 뒤집어씌우는 것에 반대한다. *기술은 인간의 정신을 나약하게 만든다. 기술과 산업이 발달할수록 인간의 삶은 외형적으로 더욱 편리해지지만 안락한 삶에 도취된 인간은 눈앞에 어떤 문제가 나타났을 때 이성적 고뇌로 치열하게 싸워 극복하기보다는 이미 만들어진 도구를 사서 해결하려 한다. *사람이 체면을 중시하는 까닭은 내세울 인간성이 직분에서 얻은 명예 말고는 아무것도 없어서다. 능력이 없으니 사람들의 존경을 받지도 못하고 그런데 또 권력은 욕심나고 그러니 스스로 자기 이름에 금칠을 해버리는 것이다. *인생이 고달파지는 까닭은 경쟁적 성공이 행복의 근본 요소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절망은 우리에게 .. 2025. 3. 30. 남혁우 《달리기의 모든 것》 *상·하복근과 코어의 힘에 집중하며 최대심박수의 60~70% 정도로 가볍게 달린다. 위 방법은 가벼운 운동 강도에서 중등도 강도로 산소를 이용하며 지방을 연소시키는 방법이다. (중략) 이러한 강도의 운동은 산소를 이용하여 몸 속에 축적된 지방을 연소하고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달리기 때문에 관절염을 걱정하기보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얻는 만족감을 느껴보길 바란다. *달리기의 가장 큰 장점은 우리의 심장과 폐를 튼튼하게 하고 즐거움과 건강한 삶을 가져다주는 데 있다. *다시 말해 과한 압력은 허리에 무리일 수 있지만 적절한 압력은 오히려 허리인대, 근육, 디스크조직을 강화해준다는 것이다. *허리가 한번 아프고 나면 어떤 치료를 받아도 재발할 수 있다. 허리나 척추 통증 치료의 핵심은 통증 재발을 막고.. 2025. 3. 23. 허윤정 《또다시 살리고 싶어서》 *'이미 일어난 사고의 뒤처리에나 집중하자.' 그게 외상외과 의사가 할 일이다. *그저 의사는 편견을 배제한 채 눈앞에 있는 환자에게 모든 역량을 쏟을 뿐이다. 다만 삶의 마지막 순간에, 사랑하는 혹은 사랑했던 가족과 함께이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는 짐작만 할 뿐. *궁금해할 찰나도 없이 몰려드는 환자를 치료하며 외상센터의 일상은 또다시 그렇게 흘러가고 있었다. *외상외과 의사는 항상 기계와 사람의 경계에서 줄을 탄다. 신체의 치유에 집중하다 보면 정신적 치유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아들을 떠나보내야 할지 모르는 어머니의 심정까지 내가 온전히 헤아릴 순 없었다. 나 따위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을 커다란 아픔일 터였다. *환자를 살리는 데 의사의 감상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 2025. 2. 16.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학문》 *'정치적인'이라는 말은 권력 배분이나 권력 유지 및 권력 이동과 관련된 이해관계가 그 문제를 해결하거나 그 결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 공직자의 활동 영역을 결정적으로 규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정치를 위해 살아가는 직업 정치가는 자신의 정치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경제적 보상을 추구할 필요가 없는 반면에 재력이 없는 직업 정치가는 장신의 정치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경제적 보상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당파성, 권력 투쟁, 분노와 편견 등의 격정은 정치가의 본령, 그중에서도 특히 정치 지도자의 본령이기 때문입니다. *지도적인 정치가의 명예는 자기가 행한 일에 대해 전적으로 자신이 책임을 진다는 데 있습니다. 정치 지도자는 이 책임을 거부하거나 전가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됩니다. *언론인의 삶은 인.. 2025. 2. 15. 이전 1 2 다음 반응형